본문 바로가기

728x90

Development

(85)
[AWS] Elastic Beanstalk Elastic Beanstalk is a Platform As A Service (PaaS) that streamlines the setup, deployment, and maintenance of your app on Amazon AWS. It's a managed service, coupling the server (EC2), database (RDS), and your static files (S3). You can quickly deploy and manage your application, which automatically scales as your site grows. Elastic Beanstalk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CLI를 사용하면 된다. To work with a Amazon Elas..
[개발일지] 2021년 2월 2일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Django] Channels & Daphne Django와 Web Server가 주고 받기 위해서는 WSGI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 Django Channels를 배포하기 위해서는 HTTP 요청은 uWSGI 프로토콜로 받고, WS(Web Socket) 요청은 ASGI 프로토콜로 받아야 합니다. 즉, HTTP 요청 뿐만 아니라, WS 요청도 처리해야 합니다. 더보기 ASGI(Asynchronous Server Gateway Interface)란? Web Server와 Django, 애플리케이션을 비동기로 연결해주는 Python의 표준 인터페이스라고 보면 된다. 여러 프로토콜( HTTP, HTTP/2, WebSocket 포함 ) 스타일을 처리 할 수 있다. ASGI(Asynchronous Server Gateway Interface)란? Web Ser..
[Django] Gunicorn - Threads Gunicorn은 평소에 쓰던 WSGI( Web Server Gateway Interface )이다. WSGI의 종류에는 uWSGI, Gunicorn 등등 많지만, 그 중에서도 가볍고 더 빠른 gunicorn을 사용하게 되었다. Procfile에 쓰여져 있는 프로세스 Gunicorn 명령어에서 못 보던 옵션을 보았다. 바로 --threads 이다. blog.winterjung.dev/2018/04/08/flask-concurrency-test gunicorn으로 flask에서 동시에 여러 요청 처리 flask 앱 내부적으로 blocking 작업이 있다고 할 때, A 클라이언트가 해당 API를 호출하면 B 클라이언트 요청은 A의 요청이 다 처리될 때 까지 기다린 후에야 처리되기 시작한다. 때문에 외부 AP..
[Django] WSGI (Web Server Gateway Interface ) WSGI (Web Server Gateway Interface) 는 Callable Object를 통해 Web Server가 요청에 대한 정보를 Application에 전달한다. 더보기 Callable Object란? A callable object, in computer programming, is any object that can be called like a function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callable object란 함수처럼 호출될 수 있는 객체를 말합니다. Python에서는 간단히 다음처럼 표현할 수 있다. """ - class를 생성했으나, 내부에 __init__는 없고 __call__만 있음 - 객체로 표현했으나, 실제는 함수처럼 사용되는 경우, 이러한 경우를 callable ob..
[개발일지] 2021년 2월 1일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WSL 2] WSL 2 설치 방법 (How to install WSL 2) Python을 주 언어로 삼으면서 DevOps와 인공지능을 동시에 공부를 하고 있다. 둘 다 공부를 하면서 Docker를 사용하면 환경설정에서 편리하고 관리에도 편할 것 같아 Docker, Nvidia-docker, Kubernetes를 집중적으로 공부하면서 WSL 2 (Windows Subsystem for Linux 2)를 알게 되었습니다. WSL 2는 윈도우에서 리눅스 계열의 터미널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야심차게 준비하고 있는 프로젝트입니다. 제가 WSL 2을 사용하게 된 이유는 Docker를 사용하여 local 환경에 있는 GPU를 사용하고 싶었습니다. 윈도우에 있는 Desktop for Docker에서는 GPU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공식 홈페이지에 발표되어 있습니다. WSL 2..
[개발일지] 2021년 1월 30일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728x90